가용률 실태조사 정례화 이용자 공지 고품질 주문
가용률 3호선 26.7%,8호선 26.9% 평균 76% 미달
LGU+ 5G가용률 3호선 11.13%, 8호선 6.65%최저
![]() |
▲김상희 부의장 |
[환경데일리 추호용 기자]지난 한 해 동안 누적 이용자 수 27억 명을 기록한 서울지하철 일부 호선의 5G 가용률이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다보니, 비싼 값이 구매한 폰의 성능조차 못 미쳐 5G 이용자의 서비스 체감도 바닥을 치고 있다. 특단의 조치로 통신사의 고품질 성능개선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국회 김상희 부의장(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경기 부천병)이 과기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근거로 문제를 제기했다. 이 자료는 서울지하철 3호선과 8호선의 5G 가용률은 각각 26.74%와 26.96%로, 전체 지하철 평균 가용률인 76.33%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지하철 3호선의 5G 가용률은 5G 커버리지 전체 점검 대상 호선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해당자료에 따르면, LGU+의 5G 가용률은 2호선 48.73%, 3호선 11.13%, 8호선 6.65%로 통신3사 중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한 것으로 드러났다.
김상희 부의장은 "서울지하철에서 5G 가용률 편차가 상당히 큰데, 이는 5G 품질이 일정 수준 이상에 도달하지 못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통신3사는 5G 요금제 가입을 안내하면서 이용자 가입 지역과 관련 대중교통에 대한 5G 가용률 및 커버리지 등을 약관으로 고지 5G 이용자를 보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상희 부의장은 전기통신사업법 제56조를 들며 "과기부 장관은 통신 품질을 개선하고 이용자 편익을 증진하기 위해 필요한 시책을 마련해야 할 법적 의무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과기부가 지하철 전체 호선이 아닌 일부만을 대상으로 5G 커버리지를 조사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커버리지 점검 대상을 전체 호선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했다.
김 부의장은 "5G 가용률 실태조사를 정례화해 변화추이를 면밀하게 살펴야 한다."고 말하며 "통신사 스스로가 5G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유도해 5G 가입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