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9회 정례회 시정질문, 식사동 숙원사업 해결 주문
이동환 고양시장 "국토부 계획인 광역교통개선 포함"
[환경데일리 문종민 기자]4만 명의 지역주민들을 위한 전기트램 건설을 놓고 10년 간 논쟁으로 지지부진했다.
찬성측은 대중교통 소외해소를, 반대측은 예산낭비와 사생활 침해, 경제성 미흡으로 교통난 해소 한계 등이 팽팽하게 논의가 이어져왔다.
최근 고양특례시의회 고덕희 의원(문화복지위원회, 국민의힘)이 식사트램의 조기 착공을 위한 시의 적극적인 행정을 주문했다.
고 의원은 27일 의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279회 정례회에서 '식사트램! 조기 착공을 기다리며' 제목으로 시정질문을 했다. 식사동은 2010년 인구 9129명이었던데, 비해 2023년 현재 인구는 약 4만600명으로 4배 이상 급증한 지역이다.
이에 비해 지하철역은 물론 대곡역까지 직행하는 버스 노선조차 제대로 돼 있지 않아 교통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다.
고덕희 의원은 "식사1,2지구 개발 시 고양선(경전철)이 조성될 것을 기대했던 주민들은 2007년 계획 무산으로 크게 실망했다."며 "2020년 말 경이 돼서야 식사선 트램이 결정됐다."고 설명했다.
식사선 트램은 2019년 5월 국토부의 '창릉신도시 추진계획' 내 포함되면서 2020년 12월 '대곡~고양시청', '고양시청~식사' 노선 등이 포함된 '창릉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이 의결됐다.
또 건설비용도 경전철과 지하철의 1/3로 저렴해 경제적이며, 교통약자가 이용하기 편리하다. 하지만 식사선 트램 도입을 위해 고양시가 2021년 7월에 착수한 ‘고양시 도시철도 도입 사전타당성 용역'은 현재까지도 최종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고 의원은 "당초 용역기간은 21년 7월부터 23년 11월까지임에도 불구하고 2012년 11월부터 2023년 9월까지 용역이 중단됐다."며 "착수보고회와 중간보고회도 하지 않은 용역"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2023년 경기도 도시철도망에 식사트램이 반영될 수 있도록 이 용역을 신속히 마무리해 달라"고 주문하고 식사트램 사업에 대한 시의 명확한 의지와 적극 행정을 촉구했다.
고 의원은 "시장이 주민과의 간담회 등에서 식사트램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을 전하면서 주민들은 불안해 하고 있다."면서 "고양 은평선 일산 연장과 별개로 트램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밝혀 달라"고 말했다.
특히 "식사선트램의 조기 착공을 위한 적극적인 행보가 필요하다."며 "식사선 착공 전까지 사업비 1500억원을 보존하고, 신속하게 건설 절차를 진행해 2029년에 꼭 개통해 주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이동환 시장은 "식사트램은 국토부 계획인 창릉지구 광역교통개선대책에 포함돼 있고, 재원 계획도 마련돼 있는 등 다른 노선과 다르며 현재 계획대로 행정절차가 진행되고 있다."며 고 의원의 조기착공에 대한 질문에도 동의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