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스마트그리드 핵심 요소… 신재생에너지 중심
수냉식 액침 냉각기술 조기 상용화 ESS 시장 진출
[환경데일리 고용철 기자]AI 기술 기반의 차세대 액침 냉각 ESS 기술이 주목을 끌고 있다.
스마트그리드 전문기업 지투파워는 113억의 ESS 정부과제 '수냉식 액침 적용 리튬이온전지 패킹 및 안전제어 강화기술' 연구개발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고 3일 밝혔다.
지투파워를 연구개발 주관기관으로 선정된 과제는 산업부가 추진하는 '수냉식 액침 적용 리튬 이차전지 패킹 및 안전제어 강화기술'에 대한 연구과제로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을 전문기관으로 하는 '2024년도 에너지 기술개발 사업'이다. 지투파워가 실증 기관과 함께 약 3년간, 총 연구개발비 113억으로 진행하는 대규모 국책 프로젝트다.
ESS (Energy Storage System)는 에너지의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 솔루션으로 스마트그리드(Smart Grid) 전력산업 전반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매년 전 세계적으로 시장 규모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지투파워가 수주한 정부 과제 '수냉식 액침 적용 리튬전지 패킹 및 안전제어 강화기술'은 리튬이온 배터리 방식의 취약한 화재 위험을 비전도성 액체에 배터리를 담가 불이 나지 않고 열을 식히는 액침 냉각기술을 적용한 차세대 ESS 안전 강화 기술로서, 세계적인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다.
이번에 수주한 연구과제의 목표는 액침 냉각기술을 이용해 각종 리튬이온 배터리 및 인증·표준에 적용 가능한 지능형 고안전 ESS의 랙(모듈)/뱅크/EMS 기술 개발 및 성능 평가에 있고, 2026년까지 연구·기술 개발 및 공인시험 및 실증을 진행하고 2027년에 제품 상용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이지만, 지투파워는 개발 및 상용화 일정을 앞당겨 2026년 말에 제품 출시가 조기 달성 가능하다는 전망이다.


지투파워 총괄연구책임자 이동준 부사장(CTO)은 "현재 세계 ESS 시장은 미국과 중국, 유럽을 중심으로 주도하고 있지만, 지투파워가 그동안 축적해 온 ESS 화재 예방 기술과 CMD 및 AI 기술 기반의 차세대 액침 냉각 ESS 기술을 조기에 상용화함으로써, 미래 전략 사업인 배터리 재사용 사업을 포함해 본격적인 세계 ESS 시장 진출에 청신호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