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과학기술원 연구원 창업, 차선인식 방식 개발
국내 민관 자율주행차 시험 참여 모두 47종 가동
[환경데일리 최인배 기자]국내 민간기업과 연구소, 대학교에서 가동 시험중인 자율주행차는 모두 47개에 달한다.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현재 자율주행차 시범 운영 현황을 보면 현대자동차는 15종으로 가장 많다. 같은 계열사인 기아차는 2종, 쌍용차는 1종, 아우디 1종, 모비스 1종, 만도 1종이다. 해외 완성차인 아우디는 국내에서 1종에 대해 별도로 자율주행차를 운행 시험중이다. 그외 부품제조업체 현대모비스, 만도도 참여하고 있다.
IT 통신 전자는 삼성전자 3종, KT 2종, 네이버랩스 1종, LG전자 1종, SKT 1종, 소네트 1종으로 9종이 시험중이다.
공공연구기관인 융합기술연구원 3종 , 전자통신연구원 2종, 교통안전공단 2종, 자동차부품연구원 1종이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이와 별도로 지금까지 대기업과 학계 위주였던 우리나라 자율주행 개발에 중소기업이 본격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됐다.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가 3일 자율주행 인공지능 전문 스타트업 ㈜소네트의 자율주행차에 대해 임시운행을 허가했다.
중소기업이 자체 개발한 부품을 사용해 자율주행차 임시운행허가를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소네트가 임시운행을 허가받으면서 45대의 자율주행차가 전국을 주행할 수 있게 됐다. 소네트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의 연구원이 창업한 기업으로, 자율주행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교육 및 컨설팅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자율주행차는 자체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탑재해 카메라로 인지한 이미지 영상을 처리하고 차량을 제어하며 자체 개발한 차선인식 방식(알고리즘)을 활용한다. 소네트는 향후 자율주행 알고리즘을 자유롭게 테스트할 수 있는 자율주행 표준 기반(플랫폼)을 제작하고 자율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자율주행 키트(시스템 일체)를 개발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민간의 기술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임시운행 허가제도를 도입하고 자율주행에 필요한 정밀 도로 지도를 무료로 제공하는 등 연구목적의 실제 도로 주행을 지원해왔다.
나아가 자동차 제작·통신·부품사 등 다양한 업계의 대·중·소기업들이 협력할 수 있도록 '자율협력주행 산업발전 협의회'를 발족해 학술 토론회 등 업계 간 만남을 주선하고 있다.
국토부는 이번 허가를 계기로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도 더욱 활기가 더해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혁신적인 기술력을 갖춘 우리나라 자율주행 스타트업이 자유롭게 연구·개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여러 업체와 교류할 수 있는 연계·협력의 장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