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환경부, 카카오모빌리티,,현대차 등
도로·지하차도 침수사고 예방 고도화 추진
[환경데일리 고용철 기자]내비 기술이 진화해 사전에 홍수 피해를 막는다?
여름철 수해로 인한 국민의 생명과 재산 피해 방지에 일조하기 위해 수단으로 내이게이션을 알리기로 했다.
10일, 한강홍수통제소(서울 서초구 소재)에서 '도로·지하차도 침수사고 예방 위한 내비(지도 앱 포함한 차량 길 안내 서비스) 고도화 업무협약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자리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환경부,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카카오모빌리티, 티맵모빌리티, 네이버, 현대차·기아, 맵퍼스, 아이나비 시스템즈,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동참했다.
오송참사 이후 매년 여름철 홍수기 피해 최소화 사례를 찾기에 집중했다.
정부는 올해부터 침수 가능성을 높은 도로·지하차도, 하천범람 등으로 사전에 차단하는데 목적으로 둔다고 밝혔다.
정부 정책에 참여하는 민간 내비게이션 기업들과 협력이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했다.
앞서 7월 1일부터 내비게이션을 통한 홍수위험 실시간 알림(홍수경보 및 댐방류 정보) 서비스 제공을 순차적으로 개시했다.
이는 지난해 7월부터 시작한 정부와 민간 기업 간 긴밀한 협력의 성과로, 올 1월에 과기정통부와 환경부의 주관으로 '도로·지하차도 침수 사고 예방 민관 합동 내비 고도화 특별전담반'을 출범했다.
이번 업무협약식을 통해 지속적인 내비 고도화를 통해 침수사고와 다양한 재난 상황에 대응하고자 민관 협력을 보다 공고히 하는 차원에서 민관 공동으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을 통해 전담반의 추진 배경 및 내비게이션 고도화 성과를 발표하고, 국민 안전을 위해 정부와 민간 기업이 앞으로도 더 적극적으로 협력해 나갈 것을 약속하는 자리로서도 의미를 더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 이종호 장관은 "오늘 맺은 이 업무협약을 바탕으로, 앞으로도 급격한 기후변화에 따른 국민 피해 최소화와 위기대응역량을 제고하는 데 디지털 기술이 기여할 수 있도록 더욱 적극적인 민관협력을 경주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환경부 한화진 장관은 "디지털기술을 활용한 홍수예보 정책과 민간의 첨단 기술을 더욱 접목시켜, 홍수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