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사 앞 조합원등 매일 상여멘 사연?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서울 서초구 양재역 1번 출구 서희건설 본사 앞에는 40여명의 조합원들이 매일 상여맨 이들이 곡소리를 내고 있다.
이런 배경에는 김포사우지역주택조합, 조합장 간 첨예한 이해관계로 인해 사업을 재개 못한채 조합원들의 피해로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2015년 서희건설를 시공사로 선정한 가운데 경기도 김포시 사우동 299일대에 435가구 규모 아파트 공사를 위해 사업약정(MOU) 체결했다
분쟁의 발단은 조합 측이 조합장의 횡령 의혹을 터지면서 시작돘다. 여기에 불을 지르는 건 소송전에 들어간 사이 서희건설 측은 사업 재개에 소극적인 태도에 분을 삭히지 못해서다.
지난달 김포사우지역주택조합 측은 시공사를 현대건설로 바꿨다.
조합 관계자는 "서희건설이 조합원들에게 100억원의 대출을 받게 한 것은 약속과 다른 만큼 시공예정사를 바꿀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현대건설측은 "아직 지켜볼 일"이라고 짧게 말했다.
조합측은 "서희건설측이 처음과 달리 약속을 어긴 만큼, 조합 재산의 토지에 62억원의 가압류는 명백한 업무 방해에 해당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조합 측 40여명은 이날 서희건설 본사 앞에서 상여를 메고 시위에 나서 가압류를 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서희건설 관계자는 "우리가 취한 법적 문제는 약정서 내용을 중심으로 가압류를 진행한 사안이고, 대출은 다른 시공사의 경우에도 담보대출을 초과하는 금액은 개인 신용대출을 진행해야 한다."고 밝히면서 "우리는 사업 정상화에 대한 투명한 대화뿐"이라고 말했다.
집회에 참여한 조합원들이 분개하는 부분은 조합장이 조합원들로부터 받은 분양대금의 탕진했고, 김포 사우 이외에 4000가구의 조합원을 별도 모집한 이중 플레이를 꼬집었다.
결국 피해자는 서희건설을 등에 업고 조합 결성한 조합장과 일부 관련자들이 조합원들의 분양대금 재산권을 탕진하게 만든데도 따른 단체 행동이라고 말했다.
조합간의 갈등은 10월에 조합 측 일부 조합원 5명이 조합장과 협의도 없이 이봉관 서희건설 회장을 만나 사업정상화를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조합 측은 "기존 집행부 등을 정리한 뒤 사업 정상화에 나설 계획이 있다."고 밝히자, 이 회장은 "정리가 되고 우리가 할 수 있는 부분이 있으면 최선을 다해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집회에 참여한 이들은 "우리의 마지막 재산권 지키기 위한 모든 행동을 할 것"이라며 "서희건설측은 아직도 아무런 응답이나 우리의 요구인 사업 정상화 조차 무시하고 있다."고 날선 주장을 폈다.
서희건설측은 "김포사우지역 사업 정상화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