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개선,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강화 필요
고양경제자유구역 지정 등 일자리 확보 변수
고양특례시민 전체 인구는 108만명을 훌쩍 넘겨 109만명에 육박하고 있다. 하지만 시에서 생활하는 인구는 이보다 휠씬 많은 370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고양연구원(원장 김현호)에 따르면, 고양시의 체류인구를 파악하기 위해 생활인구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고 16일 밝혔다.
생활인구는 특정 지역에 거주하거나 체류하면서 생활을 영위하는 시민이며, 주민등록인구·등록외국인(등록인구)과 함께 월 1회, 하루 3시간 이상 체류하는 사람(체류인구)을 칭한다.
생활인구 개념은 2023년 1월 시행된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에서 처음 도입됐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고양시 생활인구는 주민등록인구의 3배 이상, 체류인구(3시간 이상)는 주민등록인구의 2배 이상으로 추정된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23년 11월 15일을 기준으로 산정한 고양시 생활인구는 총 369만9185명으로 추정되며, 그중 시에 3시간 이상 체류한 인구는 261만7583명(통신사 보정 전 63만743명)으로 산출됐다.
3시간 이상 체류를 기준으로 고양시로 유입된 인구는 고양시에서 유출된 인구보다 1만6803명 더 많았다.
이동의 연령대는 40~50대, 20~30대이며, 이동수단은 자가차량 이용이 가장 많았다. 이동목적을 볼 때, 출근보다 귀가 목적이 높아 고양시의 체류 형태는 베드타운형에 가까운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보고서는 고양시의 생활인구를 늘리고 지역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목표치가 나타났다.
가장 먼저 거주와 외부로부터의 유입, 체류를 강화시킬 수 있는 생활여가 개선, 일자리 창출, 지역 매력을 강화시킬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연구원은 30분 생활권 선도 자족도시 실현을 통한 도시기능 다양화, 지역특화산업 및 특화지역 육성을 통한 생활인구 유입 활성화를 강조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국제비즈니스를 구축할 경제자유구역 건설이 핵심이다.

고양시만의 갖춘 한류월드 문화관광 복합단지 조성 및 3대 테마파크(커피명소화, 수도권 최대 반려동물 공원, 전국유일의 독서공원) 조성이 젊은층 정주인구 유입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측이다.
이와 별도로 고양사랑시민증 발급을 제시했다. 고양사랑시민증은 타 지자체로부터의 인구유입과 지역 발전을 위해 관내 생산물품 판매, 관광객 유치, 서비스 이용 등에 혜택을 부여하는 제도다.
별도로 고양시의 교육 경쟁력 강화를 통해 고양시 거주 내부 학생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고 외부 타 지역의 우수 인력을 유인하며, 직업계 고둥학교의 특화된 운영 모델 개발을 통해 경기 북부 지역의 학생 유입을 제안하고 있다.
고양연구원 도시환경연구실 윤신희 연구위원은 "생활인구 지표는 1회성 분석으로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산출해 도시를 모니터링할 도시진단 지표로 활용돼야 한다."고 말했다.
윤 위원은 "고양시는 체류시간, 이동목적, 이동수단 등 시의 정책 활용에 실질적으로 도움되는 생활인구 산출 방식과 범위를 다각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제안했다.
고양시는 현재 '고양 E-DEAL 2030 프로젝트'를 추진중이다. 이동환 시장은 경제와 교육·양육, 교통·문화와 복지·안전, 주거 5개 분야, 20개 세부 사업을 통해 도시의 기능을 활성화해 '100만이 사는 도시, 1000만이 찾는 고양'을 만들 것이라 선언했다.
김학영 고양시의원은 "창릉3기 신도시 구축과 함께 130만명 도시가 건설되면 또 다른 재정적인 투입 요건들이 늘어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정주인구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초점을 맞추면 자연스럽게 인구는 늘어나지만 인구가 늘어난다고 도시가 발전하는 건 아니기 때문에 다양한 제도 등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환경데일리 = 김영민 기자]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