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부터 온라인, 중소기업 시설개선 비용 70% 지원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올해도 '화학사고 없는 일터 만들기'가 진행된다.
환경부와 환국환경공단은 낡고 노후돼 위험한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을 보유한 중소기업에게 정부 지원자금으로 돕는다. 집행될 예산은 업체당 최대 3200만원까지다.
이를 위해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K-eco)은 '2023년 화학안전 사업장 조성 지원사업' 공고를 내고 관련 지원 사업을 본격적으로 실시한다고 11일 밝혔다.
지난해 처음으로 추진한 이번 지원사업은 노후화된 중소기업의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개선 비용의 일부를 지원해 화학사고를 사전에 예방한다.
올해 지원사업의 예산 규모는 지난해와 같이 총 80억 원이며, 시설개선 비용의 70%를 국고로 지원한다. 지원 대상은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중소기업이며,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시설(예: 누출감지기, 방류벽) 설치 비용이나 노후화된 저장시설 및 배관 등을 교체할 때 들어가는 비용을 지원한다.
신청에 필요한 서류와 방법 등 상세내용은 한국환경공단 누리집(www.keco.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신청서 접수 기간 동안 전화상담 창구(1899-1744 연결 후 0번)도 운영해 사업신청 및 관련 서류 준비 등에 어려움을 겪는 사업장을 지원할 예정이다.
신청접수 마감 후 현장조사를 거쳐 심의위원회 심의평가 등을 통해 지원업체가 선정되며, 선정된 업체는 올 3월경 한국환경공단과 협약을 체결한 후 시설개선을 착수할 수 있다.
이형섭 환경부 화학안전과장은 "이번 지원사업은 중소기업의 안전관리를 위한 재정부담을 완화해주는 한편, 화학사고 예방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중소기업의 화학안전 관리역량 강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