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수질오염사고 위기대응 워크숍'개최
사고 사례 중심 대응 매뉴얼 개선사항 논의
현장 담당자 생생한 목소리 점검의 장 마련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K-eco 한국환경공단은 환경부와 28일 오전 10시부터 KT인재개발원에서 '대규모 수질오염사고 위기대응 워크숍'을 통해 다양한 변수의 사태와 즉각 대응을 필요한 시스템을 다시한번 점검했다.
이번 워크숍은 대규모 수질오염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작성 기관인 7개유역(지방)환경청 및 17개 광역단체, 한국수자원공사(K-water)의 재난 및 수질오염사고 대응 담당자를 대상으로 진행했다.
효과적 사고 대응체계 점검, 사고 통계를 통한 실제 대응 사례 분석, 국가 재난 대응의 전문가 강의, 위기대응 매뉴얼 개정 및 사고 대응 전반에 관한 현안사항 의견청취 및 질의‧응답의 시간을 가졌다.
이번 워크숍은 대규모 수질오염사고 발생 시 중앙사고수습본부인 환경부와 지역사고수습본부인 환경청,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인 지자체, 전문 방제지원의 수질오염방제센터 등 위기대응 기구가 한자리에 모여 사고 대응체계의 개선사항 및 현장의 애로사항을 직접 경청하고 상호간의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집중했다.
수질오염방제센터는 2010년에 설치돼 물 환경보전법에 따라 운영중이다. 수질오염사고 시 관할 지자체 및 유역청의 방제지원 요청에 따라 전문 방제 인력 및 기술, 장비, 물품 등을 신속히 지원해 대하천 및 식수원 등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대응하고 있다.
4대강 유역에 15개의 방제 비축시설에서 선박(22대) 및 항공드론(7대), 장비(126대), 물품(25종) 등을 상시 비축‧운영하고, 대규모 합동훈련 및 지자체 대상 방제 기술교육 등 즉각적인 사고대응 태세를 확립하고 있다.
그간 축적된 전문방제 기술 및 장비를 기반으로 4차 산업기술을 활용한 방제지원용 무인선 및 무선 유회수기 개발 등 선진방제 체계를 구축 중이다.
안병옥 K-eco 한국환경공단 이사장은 "복합적인 수질오염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만큼 관계기관과 협력 강화 및 대응체계 상시 점검으로, 어떠한 사고라도 즉각적인 공동 대응을 통해 국민과 수생태에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물환경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