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이해 관계 허수아비 사장 더 이상 안돼
쓰레기를 자원화 지역이기주의 벗어나야 공생
정치인 사장 '수도권 폐기물 대란' 당연한 수순
수도권매립지노조 긴급 성명, 사장 임명 임박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낙하산 사장 반대한다!"
최근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사장에 인천지역 정치인 출신이 낙점할 것이라는 소문이 나돌고 있다. 전형적인 비전문가형 낙하산이라고 우려때문이다. 이런 분위기 속에는 그만한 원인이 있다. 수도권매립지내 현장 노동자들은 지난 30년 동안 수도권 경제·산업활동과 국민의 삶을 통해 필수불가결하게 발생되는 폐기물을 받아왔다.
특히 세계적인 수준의 매립기술을 보유한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는 좀 더 친환적이고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묵묵히 현장을 지켰다고 자부하고 있다. 2026년 직매립금지에 따라 수도권매립지는 단순매립에서 자원순환경제 주춧돌, 나아가 탄소중립 환경정책의 매우 중요한 전환기를 맞고 있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사장은 중요한 변환점을 맞아 환경의 지속가능성을 사수하고 현장 노동자들의 생존권을 함께 고민해야 할 중요한 자리다.

이에 대해, 25일 공사 노조측은 긴급 성명을 통해 국가적으로는 탄소중립사회 전환의 성패를 결정짓는 중요한 자리에 엉뚱한 비전문가 인사는 '결대사절'이라고 일축했다.
최근 언론 보도 등에서 지역 정치인들이 신임 사장으로 입방아에 올랐다.
공사 노조측은 이런 편향된 인사가 단순히 4자합의 주도권을 갖기 위해 인천시에서 추천된 것이라면, 대한민국 인구의 절반을 차지하는 수도권 국민의 환경권을 볼모로 지역 편향적인 관점에서 국가공사를 운영할 것이 뻔하다고 주장했다. 즉 공사 사장으로 적합치 않은 허수아비임이 이미 입증된 바와 다름없다고 주장했다.
신임 공사 사장은 2015년 4자합의에 따른 환경부,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 지역영향권 주민, 노조 등 다양한 이해관계로 얽혀있는 실타래를 풀어야 중요한 중책을 맡아야 한다.
또한, 수도권 생활쓰레기대란을 막을 새로운 대체매립지 선정 등 현안은 공사의 역점과제를 안고 있다. 공사 노조측은 이런 골든타임을 허비한다면 향후 수년 안에 수도권 시민들은 폐기물 대란을 휘말리게 된다고 경고(?)했다.
수도권매립지관리 노동조합은 다시 한번 특정지역 정치인에게 국가 환경발전과 미래를 맡기려는 터무니 없는 도박을 멈출 것을 강력하게 촉구한다.
그러면서 노조의 요구를 묵살하고 자기사람 입맛대로 정치적인 낙하산 특히 지역 편향적인 사장선임 강행할 경우, 환경발전에 역행하는 부당한 현실을 국민에게 알리겠다고 선포했다. 노조는 또한 민주노총 공공운수 노조, 환경부유관기관노조, 지역시민단체 등과 가열찬 투쟁도 전개할 것이라 천명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