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긴급 전기차 화재방지책 내놔
내년 배터리 인증제도 조기 앞당겨
멈출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는 전기차 배터리 잦은 화재 공포감이 확산되고 있다.
미세먼지 억제와 이산화탄소 저감을 목표로 친환경 전기자동차 보급을 집중해온 정책에 치명상을 줬다.
이같은 국민적인 여론 확산은 전기차 배터리의 보이지 않는 기술결합으로 곳곳에서 터지는 화재 원인이 작용됐다.
정부와 국민의힘 당정협의회는 사실상 전기차 보급에 제동이 걸리면서 급기야 전기차 배터리 정보 공개를 10월부터 의무화된다고 25일 밝혔다.
산업부, 국토부, 환경부 등은 원래 2025년 2월부터 배터리 인증제를 시행할려고 했다.
하지만 인천 벤츠 전기차 배터리 화재사고이후 국민적인 여론은 커졌고, 국내외 전기자동차 생산을 주도해온 기업들의 목소리에 한발 앞당겼다.
25일 오후 총리공관에서 부처와 여당 고위 협의회를 열고 전기차 화재 방지 대책을 확정했다고 여당 수석대변인은 발표했다.
이번 당정 협의 핵심내용은 앞으로 전기차 제조사들은 신차 출시 때 배터리 제조사 등의 상세 정보를 공개 의무해야 한다.

배터리 생산기업은 SK온,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다.
올 10월 시범사업 배터리 인증제는 제조사는 안전기준 적합 여부 검사를 거쳐 배터리를 제작·판매할 수 있다.
매년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 무상 점검도 실시한다. 2025년까지 과도한 충전을 차단 기술이 들어간 스마트 충전기 9만대를 보급했다.
특히 화재 가능성을 낮출 차세대 배터리 개발과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의 고도화도 도입한다. BMS 고도화는 배터리 화재 가능성이 있는지 상태를 미리 알려주는 원격 진단 기능도 확대한다.
환경부 관계자는 "전기차 배터리 인증제는 전기차 보급을 확대하는데 크게 도움과 배터리 생산 기업에도 더욱 안전한 배터리 보급에도 크게 힘이 될 것"이라고 환영했다.
SK온 관계자는 "배터리 생산에서 더욱 신중한 안전장치 메카니즘을 접목한 안심하고 운행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환경데일리 = 김영민/ 고용철 기자]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