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화협, 자료집 20권 복간, 일제참상 귀중 자료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대표상임의장 이종걸)는 1972년부터 일본에서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연행, 피해사실 둥과 관련한 다양한 조사활동을 벌여온 '조선인 강제연행진상조사단'의 자료집 20권을 복간해 국내 최초로 출간했다.
조선인 강제연행진상조사단은 1972년 일본 내 법률가와 학자, 문화인 등과 재일조선인들이 합동으로 연대 결성한 단체다. 조사단은 창립 목적에서 밝히듯 1939년에서 1945년까지 일본의 전시체제 하에서 '국가총동원법'에 의해 조선에서 일본으로 강제연행된 조선인의 실태를 구명하는 활동을 전개해왔다.
조사단은 ▲진상조사단 각지 활동 ▲북의 종군위안부 문제 조사와 주장 ▲관동대진재(관동대지진) 조선인학살 일본인 변호사연합회 권고와 조사보고 ▲조선인 강제연행자의 유골 문제 등을 골자로 한 자료집을 1992년부터 2007년까지 20권을 간행한 바 있으나, 이후 여건상 제작이 이뤄지지 못했다.
일본 내에서 이뤄진 일제강점기 참상과 강제동원된 조선인 피해 실태조사를 축적해온 귀중한 자료임에도, 현재 국내는 중앙도서관과 대학 도서관 등에 낱권으로 흩어져 비치돼 있는 상황이다. 민화협은 20권으로 이뤄진 조사단 자료집을 묶어서 복간, 국내 주요 도서관 170여 곳, 역사 연구단체, 시민단체 뿐만 아니라 일본 내 강제동원 관련 활동하는 기관에도 배포할 예정이다.
민화협은 이번 조사단 자료집 복간이 학계와 연구기관에서 일제 강제동원 참상과 피해 실태를 파악하는 계기가 되길 바라며, 정계와 시민사회계 그리고 일반 시민들에게도 우리의 아픈 과거사에 대한 관심을 높여 범국민차원에서 정책적으로 보완되길 바란다.
민화협은 1938년부터 45년까지 일제에 의해 강제 동원된 780만명에 이르는 피해자에 대한 진상규명이 진정한 민족화해의 실현이자 향후 한일 관계를 개선시키는 주요한 일이라는 판단으로, 2019년 동북아역사재단을 통해 조사단이 제작한 '일본지역 조선인 희생자 추도비-역사의 진실을 가슴 깊이 새기다'를 출판한 바 있다. 민화협은 앞으로도 일제강점기 피해 조사활동과 관련 자료 발간사업을 지속적으로 전개할 것이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