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공청회 등 의견청취 행정절차 31일부터 열람
'화합과 교류의 첨단 미래도시 고양' 지향 밝혀
3개 구청을 4개 구청으로, '시민행정서비스강화'
[환경데일리 문종민 기자]수도권에 제1의 도시를 꿈꾸는 고양시의 미래비전을 담은 '2035년 고양도시기본계획'이 지난 28일 경기도로부터 최종 승인됐다. 시는 31일부터 30일간 열람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도시기본계획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자치단체에서 수립하는 최상위 법정계획이다. 시는 기존 2030년 고양도시기본계획에서 '화합과 교류의 첨단 미래도시 고양'이라는 도시미래상이 제시된 '2035년 고양도시기본계획'에수립했다.
2035년 고양도시기본계획은 고양시민으로 구성된 '고양시 시민계획단'의 의견을 반영한 도시기본계획(안)을 마련한 후 국토계획평가 협의회 개최, 주민공청회, 시 도시계획위원회 자문, 고양시의회 의견청취 등의 행정절차를 거쳤다. 시는 작년 12월에 경기도에 승인을 신청했고 세 차례의 경기도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난 28일 최종 승인됐다.
이번에 승인된 2035년 고양도시기본계획의 핵심은 다소 늦더라고 시민들에게 먼저 묻고, 개발중심에서 탈피한 녹지를 최대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 첫 밑그림이다.
![]() |
▲2023년 착공·2025년 준공을 목표로 덕양구 주교동 206-1번지 일원에 연면적 7만3000여㎡의 신청사 조감도, 청사를 녹색건물, 친환경에너지 공급시스템과 녹지를 최대로 끌어올리기 위해 주변 환경에 녹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이를 위해서 도시기본계획의 목표연도를 2030년도에서 2035년으로 변경했고 기존 도시공간구조를 2도심 3부도심 7생활권중심에서 2도심(일산, 화정.창릉) 2부 도심(대곡.삼송) 8지역 중심(탄현, 대화, 장항, 풍동, 원당, 관산, 고양, 덕은)으로 재편했다.
또한 생활권을 일산과 덕양 두 개의 대생활권으로 설정하고 4개의 중생활권(덕양북, 덕양남, 일산서, 일산동)으로 세분했다.
이렇게 되면, 지금의 3개의 구청행정을 4개 구청으로 늘리고, 구도심과 신도시간의 격차를 해소하는 다양한 도시로 접목하겠다는 의지가 반영됐다. 특히 주요 지표 설정으로는 가구당 인구수를 2.3인 설정했고 1인당 도시공원면적을 9.1㎡/인으로 계획했다. 또한 장래 도시성장의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인 2035년 계획인구를 126만명으로 계획했고 시가화예정용지 19.179㎢ 등을 반영했다.
이재준 고양시장은 공을 쏟은 고양시 신청사 건립도 확정됐다. 시는 38년 전 지어진 고양군청사를 본청사로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어 늘어나는 행정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고품격 대민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2023년 착공·2025년 준공을 목표로 덕양구 주교동 206-1번지 일원에 연면적 7만3000여㎡의 신청사 건립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신청사 국제설계공모 결과 나우동인건축사사무소·헤닝라슨건축사(Henning Larsen Architects A/S, 덴마크)·아이엔지그룹건축사사무소 컨소시엄이 당선돼 기본 및 실시설계권을 부여받았다.
이재준 시장은 "권위적인 청사가 아닌 시민과 행정·문화·예술을 공유하고 소통하는 지역명소형 행정복합타운이자 고양시의 랜드마크로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2035년 고양도시기본계획은 고양시 홈페이지(www.goyang.go.kr) 열린시정→행정자료실 또는 고양시청 도시계획정책관에서 열람할 수 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